2017년 2월 18일 토요일

38 아파치 로그 rotate


웹 서버 초기 세팅은 은근히 손이 많이 간다.
별 생각없이 멍때리다 log 문제를 곰곰히 생각해보니, 서비스 오픈전에야 테스트 수준으로 쌓이겠지만, 서비스가 오픈되고나면 쌓이는 속도가 확 달라질테다.

로그를 rotate 하여 쌓는 방법을 찾았다.
아파치에서 rotatelogs 라는 도구를 제공하는데, 사용방법은 다음 URL을 참조.

rotatelogs - 아파치 로그를 순환하기위해 파이프로 연결할 로그 프로그램



40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


아파치 로그 rotate 세팅을 하고 재구동 시켰더니,
정상 구동은 되지만, 아래와 같은 문구가 출력된다.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localhost.localdomain for ServerName

괜히 신경쓰여 검색해보니,
httpd.conf 의 ServerName 을 자신의 도메인으로 설정해서 사용해라... 정도의 내용이었다.


- 설정파일 열기 : vi /etc/httpd/conf/httpd.conf 

- 설정파일이 열린 상태에서 ServerName 위치로 이동 : /ServerName

- 기존 ServerName 맞지않다면 수정하고, 없다면 새로 입력
   ServerName www.mydomain.com 

- 수정내용 저장 :   :wq!

- 재구동 : service httpd restart




2017년 2월 17일 금요일

리눅스(CentOS 6) 에서 포트 열어주기


회사의 신규 운영서버를 Setting 하고 있는데,
대략 3일 간에 어마어마한 양의 검색을 거쳐서 진행 중이다.
아직도 갈 길이 남았고, 그러던 중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을 위한 방화벽 설정을 만져야 할 때가 왔다.

검색해보니 CentOS 6 버전까지는 iptables 를 사용한다고 확인.
간단히 포트 하나를 여는 작업을 했다.

1  외부 서비스 연동시 특정 포트를 열어주어야 할 때,
   이미 열려 있지 않은지 확인. 제타위키에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그 내용을 참고했다.
     => 리눅스 로컬서버 열린 포트 확인

2  열려있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열어주자.
    =>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INPUT 포트} -j ACCEPT
    =>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OUTPUT 포트} -j ACCEPT

3  방화벽에 정책이 추가만 되고, 적용은 아직인 상태이다.
   일단 변경된  정책을 저장한다.
    => service iptables save
    => iptables: Saving firewall rules to /etc/sysconfig/iptables:[  OK  ]

4  3번 과정을 보면 /etc/sysconfig/iptables 라는 텍스트가 보이는데,
   여기에 변경된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5  변경된 내용이 잘 저장되었는지 확인.
   => vi /etc/sysconfig/iptables
   => 추가된 포트 정보가 들어있는지 보면 된다. 없다면 저장이 되지 않은 것이므로, 다시 해보자.

6  저장까지 확인했으면 정책을 반영해야 한다. 서비스 재구동.
   => service iptables restart  (현재 구동되어 있지 않다면 start)




2017년 2월 14일 화요일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태어나서 처음으로 리눅스 서버 세팅을 하게 되면서,
도움받은 명령어 들을 정리하기로 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임.

1 설치된 서비스(명령어) 찾는 방법 : whereis

2 프로그램 설치 여부 확인 : rpm -qa {패키지명}*

3 프로그램 버전 확인 : {명령어} --version

4 현재 접속 계정 확인 : pwd 혹은 whoami

5 출력결과 텍스트로 받아서 확인하기
   ex) php test.php > result.log 2>&1

6 에디터 : vi
   => 다음의 4가지 기능만 머리 속에 넣고, vi 사용중. 조금 불편하지만 필요한 편집은 모두 가능했음.
   => ESC, i 키를 누르면 삽입 모드. vi 사용 초보라면 이 때가 편집이 가장 자유롭다고 느낄 것.
   => ESC, / 키를 누르면 검색 모드. 입력한 검색어가 발견된 첫번째 위치로 이동.
   => ESC, d, d 키를 누르면 한 줄 삭제.
   => :, w, q, !, ENTER 키를 순서대로 누르면 편집내용을 저장하고 파일을 닫음.

7 IP Address 확인 : ifconfig  (Windows Command 의 ipconfig 랑 헷갈림)

8 스케줄러 수정 : crontab -e

9 스케줄러 목록 : crontab -l

10  스케줄러 실행 로그 확인 : cat /var/log/cron
  => /var/log 폴더에는 각종 서비스 들의 로그 파일들이 모인 폴더들이 있으니, 한번 눈에 익히면, 필요한 로그를 찾기 편함.

11 서비스 [구동|재실행|중지] : service {실행서비스} [start|restart|stop]
              ex) service mysqld start
              ex) service vsftpd restart
              ex) service vsftpd stop

* 외부 연동때문에 사용중인 O/S 와 DB Server 의 버전 확인이 필요한 경우
12 CentOS 버전확인 : cat /etc/issue
13 MySQL Server 버전확인 :
        1) mysql -u{id} -p 로 mysql 에 접속하여 아래에 뜨는 버전 확인
        2) yum 명령 이용 : yum list installed mysql*
           => 2번이 간편하고 좋다.


링피트로 살아남기

10.20 EP.01-1 재밌다. 좀 숨차다. 땀쟁이라 땀나는 건 당연. 발목 약간 아픔. 10.21 EP.01-2 재밌다. 스쿼트 무릎 아픔. 숨차다. 씻고 운동하는 건 비효율적인 것 같다. 내일부터 시간 및 칼로리 사진 첨부 해보자. 10.22 E...